[ AWS Terraform ] Terraform 코드 실행 후 할 일
·
🌥️Cloud Study🌥️/AWS
이 문서에서는 `terraform apply`이후 할 일들에 대해서 서술한다. 먼저 AWS 콘솔에 접속 후 로그인한 뒤, Terraform으로 만들어진 인스턴스들의 IP 주소를 확인한다.(근데 귀찮으니까 `연결`클릭해서 ` ssh -i "KDT_Project2_AWS.pem" ubuntu@52.78.100.13 `코드를 복붙 하자) 1. SSH 접속 포트 변경user_data = > /etc/hosts # SSH 포트 변경 sed -i 's/#Port 22/Port 51228/' /etc/ssh/sshd_config systemctl restart ssh ...이런 식으로 Terraform 코드로 포트를 변경하는..
[ AWS-Terraform ] 테라폼을 이용한 아키텍처 구축
·
🌥️Cloud Study🌥️/AWS
1. 테라폼 이론 및 환경설정2. 테라폼 기본 사용법3. 테라폼 모듈 작성 및 활용하기4. variable, local, output 등5. 상태 저장소, 상태 관리 개념6. 리소스 강제 교체 및 프로비저너 1. Terraform, AWS CLI 설치Terraform 설치  Install | Terraform | HashiCorp DeveloperExplore Terraform product documentation, tutorials, and examples.developer.hashicorp.com Terraform 공식 사이트에서 AMD64 다운로드압축해제 후 시스템 속성-환경 변수-시스템 변수의 Path에 Terraform 폴더 추가 powershell에서 `terraform`입력 시 위와 같이 ..
[ AWS ] 배포 파이프라인 만들기
·
🌥️Cloud Study🌥️/AWS
이식하는게 젤 힘들 것 같은데 ...............일단은 controller 부분만 세팅하면 된다고 하셨으니깐은.... 보안그룹 포트 열어둔거 필요없는거 있는지 확인하고 지우는게 좋을듯함(8080 안 쓰는데 넣어뒀다거나 그런..) (원본) https://github.com/dev-library/swu_prj_application.git일단 깃허브 포크부터 떠줬다 이미 AWS쪽 보안 설정은 다 끝내줬는데, 이것도 나중에 문서화해서 정리해둬야겠다...사진 다 안 찍어놓으면 나중에 다시 구축해야 할지도 . . 😑 저번 글에서 SSH 접속 포트를 22가 아닌 51228로 바꿨고,웹훅말고 그 뭐지.. publish over ssh로 하는 배포에서 포트번호를 일일이 지정해줬어야 했는데GPT한테 물어보니까 ..
[ AWS ] 보안그룹-인바운드 규칙 편집, 개별 인스턴스 설정
·
🌥️Cloud Study🌥️/AWS
인바운드 규칙 설정한 것들 다 SSH 22번 포트를 열어주었다. (세팅 용으로 각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함)22번 열고 접속한 다음 각 우분투 상에서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도록 변경해주면 된다.그런 다음 다시 보안 그룹 가서 열어준 SSH 20번 포트를 인바운드 규칙에서 지워주면임의로 설정한 51228 포트로 SSH 연결 접속하게 된다. Ubuntu SSH 포트 변경 방법 (링크) 어제 한 것들 : 서브넷 등 구조 설정, 보안 그룹 설정오늘 할 것 : Public, Private 서브넷에 있는 인스턴스들 설정인스턴스 설정Public 서브넷 안의 인스턴스는 마찬가지로 Public이며,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이용자가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한다.우선적으로는 우분투 셋팅을 위해 포트번호 22를 열어주었..
[ NHN 클라우드 ] Jenkins Pipeline을 이용한 배포
·
🌥️Cloud Study🌥️/NH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