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sible ] DEPRECATION WARNING 해결 방법
·
🌥️Cloud Study🌥️/TroubleShooting
요약 : Python 3를 사용하도록 설정해주자 # ansible 명령어 실행 시 경고 메시지[DEPRECATION WARNING]: Distribution ubuntu 20.04 on host 192.168.2.53 should use /usr/bin/python3, but is using/usr/bin/python for backward compatibility with prior Ansible releases. A future Ansible release will default to usingthe discovered platform python for this host. Seehttps://docs.ansible.com/ansible/2.9/reference_appendices/interprete..
[ Jenkins ] 파이프라인 배포 : No such file or directory
·
🌥️Cloud Study🌥️/TroubleShooting
요약 : Jenkins 유저 생성, 적절한 권한 부여 필요 기존에 설정해 둔 인스턴스를 이미지 복제를 통해서 복제를 진행했었는데, 파이프라인 배포 상에서 파일이나 경로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출력되었다.  새롭게 만든 인스턴스쪽에 직접 접속해보니 `jenkins` 유저가 생성되어있지 않고, 그에 따른 workspace 폴더 또한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 Jenkins 유저 생성sudo useradd -m -d /var/lib/jenkins -s /bin/bash jenkins# sudo 권한 부여sudo visudojenkins ALL=(ALL) NOPASSWD:ALL # visudo 파일 마지막에 해당 라인 추가# 홈 디렉토리 및 권한 설정sudo chown -R jenkins:j..
[ Prometheus ] active failed 오류 해결
·
🌥️Cloud Study🌥️/TroubleShooting
3티어 아키텍처에서, Private 인스턴스에 프로메테우스 설치 후 status를 확인해보면 faile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했었다.이것저것 설정 수정해보고 서비스 설정 바꾸고 별 짓을 다 하다가 지우고 재설치만 세 번째 ... GPT와 함께 문제를 해결해보았다.혹시나 동일한 오류가 발생하는 사람들을 위해 .. ^ㅡㅜ 특히나 yaml파일은 띄어쓰기, 들여쓰기가 진짜.너무.엄청. 예민해서GPT 사용 가능하면 그냥 얘한테 형식 맞춰달라고 하면 편하다 .... 오류 코드 #1요약 : Prometheus 사용자 존재하지 않음ubuntu@a-private-01:~$ sudo systemctl status prometheus● prometheus.service - Prometheus Loaded: loaded..
[ NHN Cloud ] 파이프라인 배포 문제 해결 - 2 (502 Bad Gateway)
·
🌥️Cloud Study🌥️/TroubleShooting
요약 : 경로 오류앞선 '파이프라인 배포 문제 해결'에서 성공적으로 빌드를 완료한 뒤, 엔드포인트로 접속을 시도했는데 502에러가 출력되었다.`nohup.log` 파일을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었다. ++ 나중에 확인해보니까 Test-Build가 아니라 순서가 거꾸로 되어 있었다(위 이미지 참고...ㅎ)이후에 Test 추가한다고 하다가 이렇게 된 것 같은데 담엔 파이프라인 순서도 주의해서 볼 것..이것 때문에 계속 동일 시각에 첫 번째 파이프라인은 실패하고 두 번째 파이프라인은 성공하는 원인였다 .... ubuntu@a-private-01:~$ cat nohup.logError: Unable to access jarfile /home/ubuntu//var/lib/jenkins/workspac..
[ NHN Cloud ] 파이프라인 배포 문제 해결
·
🌥️Cloud Study🌥️/TroubleShooting
결론 : 파일 경로, Timestamp 포맷이 맞지 않아 발생했던 문제AWS에서 사용했었던 롤링 배포 파이프라인 코드를 사용했는데, Deploy 부분에서 계속 오류가 나서로그를 확인해보니 `No such file or directroy`가 확인되었다. DB연동 없이도 작동하는 .jar파일을 옮겨야 하고, 해당 .jar파일은 `/build/custom-libs/`에 존재하는데 서로 경로가 맞지 않아 에러가 발생했던 것이다. def getLatestJarFileName() { def date = new Date() def formattedTime = new SimpleDateFormat("yyMMdd_HHmm").format(date) return "${env.WORKSPACE}/bu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