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V
·
INTERLUDE ✦/2023 AutoMobility STUDY
V2V란? 차량 간 통신을 의미함. 차량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전용 단거리 통신(*DSRC)을 위해 설계된 자동차 기술. 모든 형태의 무선 구성 요소를 활용하고 도로상에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VANET(Vehicle Ad Hoc Network)를 형성함 *DSRC : 단거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노변기지국을 설치하고 주행 차량에 설치된 하이패스 단말기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가공된 교통정볼르 도로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교통정보시스템. *애드혹 네트워크 : 고정적이고 계층적인 infrastructure 네트워크와는 비교되는 이동 노드만으로 구성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네트워크. V2V의 여러가지 기능들 운전자에게 필요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충돌 가능성에 대한 경고 제공 V2V 통신을..
V2I
·
INTERLUDE ✦/2023 AutoMobility STUDY
V2I 통신이란 ? Vehicle-to-Infrastructure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의 무선 데이터 교환을 말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됨 차량에서 생성된 교통 데이터를 캡쳐 → 운전자에게 안전, 이동성, 환경 관련 조건 정보 무선으로 제공 (무선 양방향 통신) 도로 인프라(차선, 표지판 및 신호등) 구성요소 → 정보 제공 in 차량 (무선) 광범위한 안전, 이동성, 환경적 장점을 제공 가능 V2I 필요 이유 자율주행 차량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갖추어져야 함 사고, 교통 체증, 급커브 및 권장 속도에 대한 정보 전달 및 공유 등등 → 미시간 대학교 교통 연구소 James Sayer 중복성 :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됨 모든 차량 시스템이 함께 작..
LIN, V2X
·
INTERLUDE ✦/2023 AutoMobility STUDY
LIN : https://www.notion.so/cherish-02/3-0ef3c0a9551e4671afaa6d51dc420635 V2X : https://mimzz2.tistory.com/116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차량 내부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 차량 내부에서 다양한 기기들이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속 통신 프로토콜 Master-Slave로 구성, CSMA/CR 프로토콜을 사용함. 통신 방식은 단방향 / 전송 속도는 20k kbps 이하 LIN의 주요 특징 Master-Slave 구조 Master 노드는 다수의 Slave 노드에게 명령을 내림 Slave 노드는 명령을 수행하고 응답하는 과정을 거침 Mas..
CAN 통신
·
INTERLUDE ✦/2023 AutoMobility STUDY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자율주행 스터디 1주차 - 자동차 동향(2)
·
INTERLUDE ✦/2023 AutoMobility STUDY
(현대자동차그룹) 자율주행 기술 한 눈에 보기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kr/mobility-device/autonomous/ 자율주행 - 현대모터그룹 TECH 자율주행운전의 시작부터 끝까지 안전하고 편리하게 현대자동차그룹의 자율주행 기술은 출차부터 주행, 주차 및 하차까지 운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전을 도모합니다... tech.hyundaimotorgroup.com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은 주행 중 스스로 운전 환경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예상되면 적극 개입하여 안전한 이동을 돕는다. 또한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지루하거나 귀찮은 운전 상황에서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하여 운전의 피로도를 줄여준다. 이를 위해 주행 안전, 주행 편의, 주차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