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는 terraform 코드를 이용해서 인스턴스 내부에서 SSH 22번 포트를 51228로 변경하도록 했는데, 접속이 안 되어서(왜 안 되는지 모르겠음....)
그래서 이번에는 보안규칙 에서 SSH접속 22번 포트를 열어두되, 접속 가능한 IP를 노트북과 데탑용으로 한정해보았다.
Terraform 코드 변경내역 :
보안규칙에서 22번 추가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테라폼 코드에서 sshd 파일 변경하는 부분 삭제.
이제 terraform apply해서 접속이 되는지 보자.(제발.....>~)
ㅜ.ㅜ 이게 얼마만에 보는 yes람...
일단 귀찮으니까 내부설정은 마지막 단계에서 해주기로 하고,( 코드몇줄 변경해주면 되기 때문...)
// # SSH 포트 변경
// sed -i 's/#Port 22/Port 51228/' /etc/ssh/sshd_config
// systemctl restart sshd
우분투에서 SSH 데몬은 sshd가 아닌 ssh로 관리됩니다. 따라서, sshd 대신 ssh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수정하여 실행해보세요. -> 싸늘하다....... 없애고 다시 만들어보자...
'2024 KDT 📕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Terraform ] NginX 리버스 프록시 설정 관련 (0) | 2024.07.22 |
---|---|
[ AWS Terraform ] 로깅 코드 추가 (0) | 2024.07.22 |
로드밸런싱 스샷 (0) | 2024.07.19 |
[ AWS ] 애플리케이션 배포 과정 (0) | 2024.07.15 |
2차 프로젝트 관련 . . (0)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