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KDT 📕/Study 📗

[ 네트워크 ] 용어 정리 (작성중)

L_Chae 2024. 7. 15. 11:00

목차 클릭해서 보기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집에서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공부하다 모르는 개념 나왔을 때 공부 겸 복습 겸 ...

(GPT🤖에게 물어본 것은 사실여부 2차검증 거쳐서 작성됨)


 

토폴로지 Topology

이미지 출처 : https://www.techtarget.com/searchnetworking/definition/network-topology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토폴로지

일반적으로 외형적인 연결 모양을 의미하는 용어로,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형상을 뜻함

- 통신 노드의 외형적인 연결 모양

-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물리적 결선 방식

- 다수의 디바이스가 통신 링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방식/형태/모양을 의미

- 종류 :  망(Mesh)형, 트리(Tree)형, 링(Ring)형, 성(Star)형, 버스(Bus), 선(Linear) 등

 

AWS의 토폴로지 설명(GPT, 아직 검증 안함)

더보기

AWS 토폴로지

AWS(아마존 웹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다양한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WS 토폴로지는 이러한 서비스를 연결하고 사용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리전(Region): AWS는 전 세계에 여러 개의 리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리전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다른 리전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중복성과 고가용성을 보장합니다.
  2.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 각 리전 내에는 다수의 가용 영역이 있습니다. 가용 영역은 별도의 데이터 센터로, 전력이 분리되어 있고 독립된 냉각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일 가용 영역의 장애가 다른 가용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3. VPC(Virtual Private Cloud): VPC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VPC 내에서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세부적으로 제어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4. 서브넷(Subnet): 서브넷은 VPC 내에서 IP 주소 범위가 정의된 네트워크 분할입니다. 퍼블릭 서브넷(인터넷에 연결 가능)과 프라이빗 서브넷(인터넷에 연결 불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5.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 라우팅 테이블은 VPC 내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어떻게 라우팅될지를 정의합니다. 각 서브넷은 하나의 라우팅 테이블과 연결됩니다.
  6. 인터넷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VPC가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퍼블릭 서브넷 내의 리소스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7. NAT 게이트웨이(NAT Gateway): NAT 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 서브넷 내의 리소스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게 하지만, 외부에서 프라이빗 서브넷으로의 트래픽을 차단합니다.
  8. 보안 그룹(Security Group): 보안 그룹은 인스턴스 수준의 방화벽으로,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성 방식 및 연결 구조를 나타냅니다. 주요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버스 토폴로지(Bus Topology):
    • 단일 중앙 케이블(버스)에 모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됩니다.
    •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지만, 중앙 케이블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 중앙 허브 또는 스위치에 모든 네트워크 장치가 개별적으로 연결됩니다.
    • 중앙 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만, 각 장치 간의 독립적인 연결로 트래픽 충돌이 적습니다.
  3.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
    • 각 네트워크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원형 형태를 이룹니다.
    • 데이터가 한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하며, 한 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
    • 모든 네트워크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됩니다.
    • 고가용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설치와 유지보수 비용이 높습니다.
  5. 트리 토폴로지(Tree Topology):
    • 스타 토폴로지를 확장한 형태로, 여러 개의 스타 네트워크가 계층적으로 연결됩니다.
    • 계층 구조로 인해 확장성이 좋지만, 상위 계층에 장애가 발생하면 하위 계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6. 하이브리드 토폴로지(Hybrid Topology):
    •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형을 결합하여 사용합니다.
    • 각 토폴로지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지만,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